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EkWI6Ru8lFQ&list=PLE0hRBClSk5Lcgv3c-I3PH-1LGkv96oYN&index=19
개념
- facebook이 개발한 API를 위한 query language
- client에게 필요한 것만 정확하게 요청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
RestAPI 방식과의 비교
✔️ RestAPI
- 장점
- 메소드와 URI를 조합해서 예측가능하고 일정한 정보와 작업을 요청할 수 있다.
- 정보들을 읽고, 쓰고, 수정하고, 삭제할 수 있음
- 받아야하는 형식이 일정한 경우에 많이 사용
- 커스터마이징할때 좋음.
- 단점
- overfetching : 필요하지 않은 정보들까지 볼 수 있음. → 데이터 측면에서 소모가 많음.
- underfetching : 필요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요청을 여러번 보내야함.
✔️ GraphQL
- 장점
- body에 필요한 정보만 한번에 넣어서 서버에 요청할 수 있음
- POST방식으로만 보낼 수 있지만 body에 class를 구성하는 방식에 따라 수정, 삭제 요청도 가능
- 단점
- 잘못된 요청 필터링이 어려움
- 요청 방식이 복잡함 (필요한 모든 필드를 작성해야 하기 때문)
✨ 요약
RestAPI | GraphQL |
단순한 요청방식 | 복잡한 요청방식 |
복잡한 data 리턴 | 효율적인 데이터 리턴 |
'🐤 study > et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Mac에서 Redis Cluster 구성 가이드: 실행/종료/노드상태 확인까지 (+ start/stop 스크립트) (1) | 2025.05.17 |
---|---|
[VSCode] vscode에서 emmet 설정하는 법 / emmet 적용 안될때 (Mac)🛠 (0) | 2022.06.20 |
[GIT] git 브랜치 전략 | git flow, github flow 차이 (0) | 2022.06.19 |